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

전세권이 소멸한 때에는 전세권설정자는 전세권자로부터 그 목적물의 인도 및 전세권설정등기의 말소등기에 필요한 서류의 교부를 받는 동시에 전세금을 반환하여야 한다.

by 오순이네 2023. 2. 6.
반응형

728x90
반응형

 

07 전세권 소멸의 효과

728x90

1. 동시이행항변권

317(전세권의 소멸과 동시이행) 전세권이 소멸한 때에는 전세권설정자는 전세권자로부터 그 목적물의 인도 및 전세권설정등기의 말소등기에 필요한 서류의 교부를 받는 동시에 전세금을 반환하여야 한다.
728x90

전세권자가 그 목적물을 인도하였다고 하더라도 전세권설정등기의 말소등기에 필요한 서류를 교부하거나 그 이행의 제공을 하지 않는 이상 전세권설정자는 전세금의 반환을 거부할 수 있고, 이 경우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가 전세금에 대한 이자 상당액의 이득을 법률상 원인 없이 얻는다고 볼 수 없다[200162091].

 

2. 전세권자의 경매청구권

318(전세권자의 경매청구권) 전세권설정자가 전세금의 반환을 지체한 때에는 전세권자는 민사집행법의 정한 바에 의하여 전세권의 목적물의 경매를 청구할 수 있다.
728x90

전세권자인 채권자가 전세목적물에 대한 경매를 청구하려면 우선 전세권설정자에 대하여 전세목적물의 인도의무 및 전세권설정등기말소의무(말소등기서류 교부의무)의 이행제공을 완료하여 전세권설정자를 이행지체에 빠뜨려야 한다[7790].

전세권은 ()저당권()압류채권에 대항할 수 없는 경우에는 민사집행법에 의한 매각(경락)으로 소멸되고, 대항할 수 있는 경우에는 매수인(경락인)이 전세권설정자의 지위를 인수함을 원칙으로 하되 전세권자가 배당요구를 하였으면 전세권은 매각으로 소멸된다.

건물의 일부를 목적으로 하는 전세권은 그 목적물인 건물 부분에 한하여 그 효력을 미치므로 건물 중 일부를 목적으로 한 전세권이 경락으로 인하여 소멸한다고 하더라도 그 전세권보다 나중에 설정된 전세권이 건물의 다른 부분을 목적물로 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사정만으로는 아직 존속기간이 남아 있는 후순위의 전세권까지 경락으로 인하여 함께 소멸한다고 볼 수 없다[9850869].

전세권자는 목적부동산 전부에 대해 후순위권리자 기타 채권자보다 전세금의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다(303조 제1).

728x90

3. 전세금반환채권의 양도

전세기간 만료 이후 전세권양도계약 및 전세권이전의 부기등기가 이루어진 것만으로는 전세금반환채권의 양도에 관하여 확정일자 있는 통지나 승낙이 있었다고 볼 수 없어 이로써 제3자인 전세금반환채권의 압류전부 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없다[200335659].

4. 전세권이 1동의 건물 일부 위에 설정된 경우

단일 소유자의 1동의 건물 중 일부에 대하여 경매신청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부분에 대한 분할등기를 한 연후에 하여야 한다[73283]. 따라서 전세권의 목적물이 아닌 나머지 건물부분에 대하여는 제303조 제1항에 의한 우선변제권은 별론으로 하고, 318조에 의한 경매신청권은 없으므로([91256]), 부동산 전부에 대한 경매청구를 부정한다(303조 제1항 후단에 따라 제3자가 신청한 경매의 경락대금 전부에서 우선변제받을 수는 있다). , 건물의 일부에 대하여 전세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세권의 목적이 된 부분이 구조상 또는 이용상 독립성이 없어 그 부분만의 경매신청이 불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건물 전부의 경매를 청구할 수 없다[2001212].

 

5. 전세권자의 원상회복의무부속물수거권

728x90
316(원상회복의무, 매수청구권) 전세권이 그 존속기간의 만료로 인하여 소멸한 때에는 전세권자는 그 목적물을 원상에 회복하여야 하며 그 목적물에 부속시킨 물건은 수거할 수 있다.

6. 부속물매수청구권

316(원상회복의무, 매수청구권) 그러나 전세권설정자가 그 부속물건의 매수를 청구한 때에는 전세권자는 정당한 이유없이 거절하지 못한다.
전항의 경우에 그 부속물건이 전세권설정자의 동의를 얻어 부속시킨 것인 때에는 전세권자는 전세권설정자에 대하여 그 부속물건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다. 그 부속물건이 전세권설정자로부터 매수한 것인 때에도 같다.
728x90

전세권설정자의 부속물매수청구권은 언제나 인정되며, 전세권설정자가 부속물매수청구권을 행사하면 전세권자는 부속물수거권을 행사할 수 없음이 원칙이다. 전세권자의 부속물매수청구권은 언제나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경우(동의 또는 매수)에만 인정되는 것이다.

7. 유익비상환청구권

310(전세권자의 상환청구권) 전세권자가 목적물을 개량하기 위하여 지출한 금액 기타 유익비에 관하여는 그 가액의 증가가 현존한 경우에 한하여 소유자의 선택에 좇아 그 지출액이나 증가액의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유익비상환청구의 경우에 법원은 소유자의 청구에 의하여 상당한 상환기간을 허여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


loading